본문 바로가기
자동차

BYD 비야디 자동차에 회사 설명

by 록펠러차일드 2022. 4. 16.
반응형
SMALL

이번에는 다소 생소할 수도 있는 자동차 회사입니다. 바로 중국의 대표적인 전기자동차 회사 BYD로 비야디 자동차로 불리는 회사입니다. 중국 자동차라고 하면 다소 부정적인 이미지가 떠오르지만 이제는 무시할 수 없는 위치에 있습니다. 계속해서 급격한 성장을 거듭하는 비야디 자동차에 대해 지금부터 살펴보겠습니다.

BYD 비야디 자동차에 회사 설명


비야디 자동차는 처음에는 내연기관의 차량으로 출발해서 지금은 전기차로 더 유명해졌습니다. 2019년도에는 규모만큼은 미국의 테슬라보다 더 높은 위치에 있었습니다. 특이점은 처음엔 배터리 제조로 성장을 계속하다가 내연기관 자동차와 전기자동차로 자리를 잡은 회사입니다. 배터리 제조에서 국내 삼성 SDI와 경쟁하는 관계입니다. 2020년대에 들어와선 테슬라가 판매량과 시가총액을 비롯해 모든 게 비야디를 앞질렀습니다. 그리고 버크셔 해서웨이가 25% 정도의 비야디 자동차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고 합니다.
1995년 2월에 배터리 제조업체로 설립되었습니다. 설립 인물은 왕촨푸입니다. 당시 한창 유행한 모바일 배터리를 만들기 시작하며 기술을 축적하였습니다. 특히나 중국에서 이동통신이 분야가 급격히 성장하고 활성화되었고 일본 산요전기와 소니에 배터리를 납품할 정도로 기술력을 인정받았습니다.
그러다 2002년에 국영기업이었던 중국 시안에 본사가 있는 친촨 자동차를 인수하고서 본격적인 전기자동차 제조업을 시작합니다. 친촨 자동차는 지방정부가 소유한 기업이고 내연기관 자동차를 만들던 회사로 비야디가 인수를 한 것입니다. 배터리 기술은 세계적인 수준이었는데 자동차 기술은 없었습니다. 전기자동차에는 배터리의 기술이 중요하기에 비야디는 큰 시너지를 만들어낼 수 있었습니다.
중국 정부 입장에서 내연기관은 이미 기존의 메이저 회사가 버티고 있어 진입장벽이 높았고 중국의 대기오염은 심각했으며 새로운 기술을 촉진하고 확산시키고 싶은데 전기자동차 분야가 제격이었습니다. 이에 전기자동차에 보조금과 충전 전기 할인, 주차 우선권 같은 여러 혜택을 주고 전기자동차 분야를 적극적으로 지원하게 됩니다. 그러자 중국에서 전기자동차 회사는 엄청 많이 생겨나 한땐 200개 넘는 회사가 존재하기도 했습니다. 그런데 중국 정부가 기술력 있는 기업에만 보조금을 주다 보니 비야디처럼 기술력이 있는 곳만 살아남게 되었습니다. 비야디는 워런 버핏의 버크셔 해서웨이나 삼성에서 투자를 할 만큼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이미 미국에도 진출했고 대한민국에서는 2015년 삼성과 합작으로 지사를 세웠습니다. 미국 뉴욕과 영국 런던에 시내버스로도 쓰이고 있습니다.
한때 쌍용자동차 인수에 큰 관심이 있는 것으로 기사가 나간 적이 있었는데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2017년에는 제주 국제공항의 리모트 버스를 제주항공 자회사 ATS가 도입을 하였습니다. 2018년에는 우도에 마을버스용으로 비야디 버스를 도입하기도 했습니다. 한동안 비야디 버스는 제주도와 우도에만 있었는데 2020년 12월부터는 서울시 시내버스로 BYD eBUS-12를 투입하면서 대한민국에도 본격적으로 시장이 형성되고 있습니다. 현재 비야디 자동차의 수입대행사는 GS글로벌이라고 합니다.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