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동차

닛산에 대해 잘 모르는 사실들

by 록펠러차일드 2022. 4. 15.
반응형
SMALL

지난번 글은 미쓰비시에 대한 글이었고 그 전 글은 르노에 대한 글이었습니다. 그럼 자연스럽게 이번에는 닛산에 대한 글을 써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왜냐하면 르노-닛산-미쓰비시는 얼라이언스로 서로 전략적인 제휴관계이기 때문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닛산이라는 브랜드에 대해 사람들이 잘 모를만한 이야기들을 풀어보려고 합니다.

닛산에 대해 잘 모르는 사실들


현재 세계 여러 곳에서 연간 300만 대 이상을 판매하고 있는 브랜드입니다.
한국에는 1990년대 자동차 삼성그룹과 전략적 제휴를 맺어 삼성자동차 설립 당시 닛산의 전륜구동 플랫폼과 기술을 제공하며 큰 도움을 줬습니다. 그 후 닛산의 모기업인 르노가 삼성자동차를 인수한 뒤에도 2000년대 후반까지 전륜구동 플랫폼을 제공했습니다. 2010년 2세대 SM3, 3세대 SM5의 출시부터 르노의 전륜구동 플랫폼을 적용하고 기술 제휴는 없었으나 VQ엔진을 비롯해 가솔린 엔진, 자트 코제 CVT 등의 변속기 분야는 닛산에서 가져오고 있습니다. 반대로 닛산 캐러밴의 몇몇 부품은 르노삼성자동차에서 공급한다고 합니다.

프리미엄 브랜드로 인피니티를 운영하지만 모델 분리가 안되어 있습니다. 물론 미국 생산 전용인 QX80 같은 일부는 아니긴 합니다. Q50으로 나오는 신형이 인피니티 브랜드로 나왔고 그 뒤 페이스리프트 Q70으로 나오는 푸가 페이스리프트에도 일본 내수용에 인피니티의 브랜드로  나왔습니다. 그러나 2019년 스카이라인 페이스리프트가 닛산 브랜드로 나오고 푸가도 닛산으로 나왔습니다.

닛산의 부품사로 칼소닉 칸세이가 있었는데 2016년 11월 22일 사모펀드 KKR에 매각했습니다. 오디오는 예전 히타치 계열사이기도 한 클라리온에서 공급받고 연료 계통과 전장 쪽은 히타치 아스 테모가 제공합니다.
르노와 다임러 그룹이 공동으로 엔진 개발을 해서 인피니티 일부 모델에 메르세데스 벤츠 엔진을 장착하게 됩니다. 메르세데스 벤츠도 A클래스에 르노의 소형 커먼레일 디젤 엔진을 장착해서 나옵니다. 또 영국 공장에서 생산되는 소형 SUV 캐시카이에 적용한 dCi 커먼레일 디젤 엔진도 메르세데스 벤츠 A클래스와 공유합니다. 2014년 출시한 2세대 포포 스마트에는 다임러와 공동으로 개발한 3세대 르노 트윙고의 RR 플랫폼을 적용했습니다. Q50 2.2 디젤은 벤츠 C클래스의 직렬 4기 통 2.2 커먼레일 디젤 엔진을 적용합니다.
그런데 공유에 너무 집착하여 Q50을 제외하고 출시된 지 오래된 Q70(푸가) 같은 모델 관리에 너무 소홀했다는 평을 듣습니다.
일본의 자동차 메이커인 미쯔오카는 주로 닛산을 기반으로 모델을 만듭니다. 미쯔오카의 가류라는 세단은 닛산의 푸가를 기반으로 만들었다고 합니다. 그 외 모델도 부분적으로 바뀌어서 나와 얼핏 보면 닛산으로 착각할 정도이며 약간은 클래식카 느낌도 난다고 합니다.
세계 최초 양산형 전기차 리프를 만들 만큼 전기자동차와 자율주행에 많은 투자를 하는 곳이 닛산입니다. 그것을 니스모로 업그레이드해서 리프 니스모도 나왔습니다. 닛산의 자율주행 시스템 프로 파일럿은 현재 2.0으로 업데이트되었고 핸들을 잡지 않아도 되고 추월까지 가능하다고 합니다.
기술의 닛산이라는 이미지가 일본 외 여러 나라에서 평가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스포츠카의 성능과 전기차 분야도 일찍이 생산했으며 혁신적인 기술을 과감히 도입하는 브랜드로 유명하여 일본인들의 자부심과 사랑이 대단한 브랜드입니다. 하지만 최근엔 잦은 결함과 내구성, 배출가스 조작 같은 문제로 해외에서 이미지가 많이 추락했습니다.

반응형
LIST

댓글